도로명주소 변환 오픈 API, 자동화의 시작입니다
웹사이트나 앱에서 주소 입력을 자동화하고 싶으신가요?
쇼핑몰 주문, 부동산 매물 등록, 배달 주소 입력 등 다양한 곳에서 정확하고 표준화된 주소 데이터는 필수입니다.
그런데 한국 주소는 지번주소와 도로명주소 두 가지 방식이 혼용되다 보니, 사용자 혼란이 생길 수 있고 데이터 오류가 자주 발생합니다.
이럴 때 도로명주소 오픈 API를 활용하면, 입력된 주소를 자동으로 변환하고 정리할 수 있어 훨씬 효율적인 시스템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번 → 도로명, 도로명 → 지번, 우편번호 검색까지 가능한 도로명주소 조회·변환 API를 소개해드릴게요.
도로명주소 오픈 API란?
도로명주소 API는 우정사업본부 또는 행정안전부에서 제공하는 공개 API입니다.
이 API를 활용하면 다음과 같은 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 지번주소 → 도로명주소 변환
- 도로명주소 → 지번주소 변환
- 우편번호 검색 및 자동 완성
누구나 공공데이터포털에서 신청 후 사용할 수 있으며, 프론트엔드·백엔드 어디서든 쉽게 연동이 가능합니다.
도로명주소 API 사용 방법 (단계별 설명)
① API 키 발급 받기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API 인증키를 발급받는 것입니다.
공공데이터포털(data.go.kr)에서 ‘도로명주소 API’를 검색한 뒤, 사용 신청을 하면 됩니다.
회원가입 → 활용신청 → 키 발급까지 보통 1~2분이면 완료됩니다.
TIP: 발급받은 confmKey
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② 요청 URL 구조 설명
주소 검색을 위한 기본 API 주소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s://www.juso.go.kr/addrlink/addrLinkApi.do
요청 시 사용되는 주요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습니다:
파라미터 이름 | 설명 |
---|---|
confmKey | 발급받은 인증 키 |
currentPage | 현재 페이지 번호 |
countPerPage | 페이지당 결과 수 |
keyword | 검색할 주소 (지번 또는 도로명) |
resultType | 응답 형식 (json 또는 xml ) |
예시 요청 URL:
https://www.juso.go.kr/addrlink/addrLinkApi.do?confmKey=YOUR_KEY¤tPage=1&countPerPage=10&keyword=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10&resultType=json
③ 예제 코드 및 JSON 응답 예시
curl 예제:
curl "https://www.juso.go.kr/addrlink/addrLinkApi.do?confmKey=YOUR_KEY¤tPage=1&countPerPage=10&keyword=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10&resultType=json"
응답 결과 예시 (일부):
{
"results": {
"common": {
"totalCount": "1",
"errorCode": "0",
"errorMessage": "Success"
},
"juso": [
{
"roadAddr":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10",
"jibunAddr": "서울특별시 중구 태평로1가 1",
"zipNo": "04524"
}
]
}
}
이 응답에서 roadAddr
는 도로명주소, jibunAddr
는 지번주소, zipNo
는 우편번호입니다.
프론트엔드나 백엔드에서 이 데이터를 파싱해서 자동 입력, 주소 검증, 우편번호 자동 입력 등에 바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활용 사례는 이렇습니다
이 도로명주소 API는 정말 다양한 상황에서 쓸 수 있어요.
- 쇼핑몰 주문서 주소 자동완성
- 배달앱에서 주소 입력 검증
- CRM 시스템 내 주소 정규화 자동 처리
즉, 사용자가 주소를 입력하면 정확한 형태로 바꿔주고, 우편번호까지 자동으로 입력되니 사용자 편의성도 확 올라갑니다.
주의할 점 & 한계
- API는 일일 사용량 제한이 있습니다. (예: 하루 10,000건)
- 인증 키(confmKey)가 외부에 노출되면 악용될 위험이 있으므로 꼭 안전하게 보관하세요.
- 변환 결과가 100% 완벽하진 않으므로, 중요한 데이터는 수동 확인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하며
주소 자동화, 어렵게 느껴지셨다면 이제는 이 API부터 활용해보세요.
공공 데이터이기 때문에 비용 부담 없이 시작할 수 있고, 실무에서도 바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카카오 우편번호 API도 함께 소개해볼게요.
두 서비스를 비교해보면, 어떤 상황에 어떤 도구가 더 적합한지도 감이 오실 거예요. 기대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