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API로 장바구니 물가 통계 시각화하는 방법

장바구니 물가, 즉 생필품 가격은 우리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통계를 단순히 숫자로만 보는 것보다, 시각화해서 보면 훨씬 직관적이죠. 오늘은 통계청 API를 활용해서 장바구니 물가 통계를 수집하고 시각화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이 글에서는 데이터 수집부터 시각화까지의 흐름을 단계별로 설명할게요. 특히 Python을 활용한 코드 예시도 함께 소개하니, 관심 있는 분들께 도움이 될 겁니다.


통계청 오픈 API란?

통계청 Open API는 대한민국 통계청에서 운영하는 공공 데이터 API입니다. 이 API를 통해 인구, 경제, 고용, 물가 등 다양한 통계를 조회할 수 있어요. 특히 장바구니 물가처럼 민감한 생활 밀접형 통계도 API로 손쉽게 가져올 수 있습니다.

API 신청 방법

  1. KOSIS 국가통계포털 접속
  2. 회원가입 후 로그인
  3. ‘OpenAPI 신청’ 메뉴에서 원하는 통계 항목 신청
  4. 인증키(API Key) 발급

장바구니 물가 통계는 어떤 항목을 조회할 수 있을까?

장바구니 물가 항목은 주로 소비자물가지수(CPI) 중에서 생활필수품에 해당하는 품목군입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아요.

  • 쌀, 달걀, 돼지고기, 우유 등 식료품
  • 휘발유, 전기요금, 도시가스 등 에너지 품목
  • 치약, 화장지, 세제 등 생활용품

이런 품목별로 매월 혹은 연도별 가격 변동률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직접 가격 추이 그래프를 만들면 인플레이션 흐름을 한눈에 볼 수 있죠.

파이썬으로 통계청 API 사용하기

1. 필요한 라이브러리 설치

import requests
import pandas as pd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2. API 요청 URL 구성

api_key = "YOUR_API_KEY"
url = f"https://kosis.kr/openapi/statisticsData.do?method=getList&apiKey={api_key}&format=json&jsonVD=Y&userStatsId=XXX"

※ 여기서 userStatsId는 원하는 통계 항목을 등록한 뒤 부여받아야 합니다.

3. 응답 처리 및 데이터프레임으로 변환

res = requests.get(url)
data = res.json()
df = pd.DataFrame(data)

이렇게 데이터를 가져오면 날짜별로 가격이 어떻게 변해왔는지를 그래프로 시각화할 수 있게 됩니다.

시각화 예제: 쌀 가격의 월별 변동 추이

df['TIME'] = pd.to_datetime(df['TIME'])
df['DATA_VALUE'] = df['DATA_VALUE'].astype(float)

plt.figure(figsize=(10,6))
plt.plot(df['TIME'], df['DATA_VALUE'], marker='o')
plt.title("쌀 가격 월별 변동 추이")
plt.xlabel("날짜")
plt.ylabel("가격 (지수)")
plt.grid(True)
plt.show()

위 그래프를 보면 쌀 가격이 어떤 계절에 오르고 내렸는지, 최근 몇 년간의 추세가 어떤지 시각적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왜 장바구니 물가 시각화가 중요할까?

단순한 숫자는 소비자에게 큰 의미로 와닿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래프로 시각화하면 누구나 흐름을 쉽게 이해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언론에서 “물가 상승률이 3.8%였다”고 해도, 그게 쌀, 고기, 생필품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시각적 데이터로 보여줘야 실질적인 정보가 됩니다.

통계청 API를 활용하면 이 모든 걸 자동화해서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는 게 큰 장점이죠.

통계청 API로 가져온 장바구니 물가 데이터 시각화하기

데이터 수집이 완료되었다면, 이제 시각화를 통해 직관적으로 정보를 전달할 차례입니다. 시각화는 데이터 분석의 핵심 중 하나로, 복잡한 통계 데이터를 한눈에 이해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Python의 matplotlib, seaborn, plotly와 같은 시각화 도구를 활용하면 보다 효과적인 시각화를 만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matplotlib을 이용해 장바구니 항목별 평균 물가 변동 그래프를 그릴 수 있습니다.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categories = [row["항목"] for row in result]
prices = [float(row["가격"]) for row in result]

plt.figure(figsize=(10,6))
plt.bar(categories, prices, color='skyblue')
plt.title("최근 장바구니 물가 항목별 비교")
plt.ylabel("평균 가격 (원)")
plt.xticks(rotation=45)
plt.tight_layout()
plt.show()

이처럼 통계청 API를 통해 수집한 장바구니 물가 데이터를 시각화하면, 단순히 숫자로 보는 것보다 더 빠르고 정확하게 물가 변동 상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활용 사례: 개인 블로그, 뉴스 콘텐츠, 정책 분석 등에 적용 가능

이 데이터를 활용하면 단순히 기술적인 구현을 넘어서, 여러 가지 실제 프로젝트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 개인 블로그: “오늘의 장바구니 물가”라는 이름으로 일일 포스팅 가능
  • 뉴스 콘텐츠: 특정 품목 가격이 급등했을 때 근거 자료로 활용
  • 정책 분석: 정부의 물가 안정 정책 효과를 수치로 검증

특히 통계청 API, 장바구니 물가, 시각화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콘텐츠를 구성하면, 구글 검색엔진에도 잘 노출될 수 있습니다.

마무리 및 참고 링크

데이터를 직접 수집하고 시각화하는 과정은 처음엔 조금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한 번만 구조를 잘 익혀두면 다양한 통계 정보를 다룰 수 있는 기반이 됩니다. 통계청 오픈 API는 신뢰성 높은 데이터를 꾸준히 제공하므로, 활용도도 매우 높습니다.

참고 자료:

이상으로 통계청 API로 장바구니 물가 통계 시각화하는 방법을 정리해봤습니다. 데이터 기반 콘텐츠 제작이나 개인 프로젝트에 꼭 활용해보시길 추천드려요!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