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데이터 API 분석으로 예금·신용카드·투자 정보 자동 집계하는 방법

은행이나 카드사 어플에 들어가보면 개인 자산을 통합으로 조회하고 카드 사용등을 분석하여 정리해주는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더이상 개인 금융 정보가 분산되어있지 않고 한 곳에서 모아서 개개인에게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죠.

이런 서비스를 전문적으로 제공해주는 곳이 뱅크샐러드, 토스 등이 있겠네요. 마이데이터 API를 활용하면 여러 금융기관에 흩어진 예금, 신용카드, 투자 정보를 한 번에 모아 자동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마이데이터 API 샘플 분석을 통해 다양한 금융 정보를 자동으로 집계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마이데이터 API란?

마이데이터(MyData)는 ‘내 데이터는 내가 관리한다’는 개념에서 출발한 데이터 활용 정책입니다. 금융 분야에서는 사용자가 동의하면 본인의 금융정보를 통합해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API 기반 시스템을 말합니다.

마이데이터 API는 은행, 카드사, 보험사, 증권사 등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들을 표준화된 형식으로 받아올 수 있게 해주며, 보통 아래와 같은 범주로 나뉩니다.

  • 예금 정보 API: 계좌잔액, 거래내역 등
  • 신용카드 API: 사용내역, 청구금액, 한도 등
  • 투자 API: 주식, 펀드, 채권 등 투자내역과 평가금액
  • 보험 API: 보험계약 정보, 납입 현황 등

샘플 API 분석: 실제 데이터 구조는?

금융결제원, 금융보안원 등에서 제공하는 샘플 API 응답 구조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은 JSON 포맷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rsp_code": "A0000",
  "rsp_msg": "성공",
  "res_list": [
    {
      "account_num": "110012345678",
      "bank_name": "OO은행",
      "balance_amt": "523000",
      "product_name": "입출금통장"
    }
  ]
}

이러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파이썬, 노드JS, 스프링 등의 백엔드 프레임워크를 통해 정기적으로 호출하면, 사용자 금융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 및 분석할 수 있습니다.

자동 집계를 위한 핵심 기술 요소

1. 사용자 인증 (OAuth 2.0)

마이데이터 API를 호출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OAuth2 기반의 인증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사용자 동의, 토큰 발급, 토큰 저장 및 갱신 로직이 필요합니다.

2. 정기 수집 스케줄링

크론(CRON) 스케줄러나 서버리스 함수(AWS Lambda 등)를 활용해 매일 또는 매주 자동으로 API를 호출하여 데이터를 누적 수집합니다.

3. 데이터 저장 및 시각화

수집된 정보는 MariaDB, MongoDB 같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를 차트, 그래프 형태로 시각화하여 사용자가 한눈에 이해할 수 있게 구성합니다.

활용 예시: 나만의 금융 대시보드 만들기

마이데이터 API로 수집한 정보를 기반으로 아래와 같은 개인 맞춤형 금융 대시보드를 만들 수 있습니다.

  • 예금: 총 잔액 변화 추이
  • 신용카드: 월별 지출 통계 및 카테고리별 분석
  • 투자: 자산별 평가금액 및 수익률 자동 계산
  • 보험: 납입 현황 및 만기 정보 알림


마이데이터 API를 활용한 자동화 서비스 예시

마이데이터 API를 활용하면 금융 데이터 자동화 서비스 구축이 비교적 수월해집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예금, 카드 사용 내역, 투자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가져와 한눈에 분석할 수 있는 대시보드 서비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때 중요한 포인트는 데이터 수집 → 전처리 → 시각화 → 사용자 피드백 루프의 흐름입니다. 각 단계마다 API 응답 구조와 속성명을 잘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특히 예금 잔액이나 입출금 내역은 날짜별로 자동 정렬되기 때문에, 월별 현금 흐름 그래프나 누적 잔액 추이를 시각화하기 좋습니다.

예금 정보 자동 집계 포인트

예금 데이터는 보통 계좌번호, 상품명, 예금 잔액, 이자율, 계좌개설일 등의 항목으로 구성됩니다. 이를 주기적으로 가져와서 사용자의 자산 변화를 추적하는 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분석이 가능합니다:

  • 예금 잔액 증감 분석
  • 금융기관별 예치금 분포
  • 고금리 예금 추천 자동화

자동화 코드를 구성할 때는 RESTful API 방식으로 주기적인 토큰 갱신과 함께 데이터를 호출하면 되며, 데이터베이스에 누적 기록을 저장해두면 트렌드 분석이 쉬워집니다.

신용카드 정보 자동 분석의 활용

신용카드 데이터는 카테고리별 소비 분석, 월별 지출 예측, 카드 혜택 추천 등으로 확장할 수 있습니다. 결제일, 가맹점명, 지출 금액, 카드사 등의 속성을 기준으로 파이 차트나 바 차트로 시각화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또한 카드 승인 실패, 연체 정보, 할부 내역 등도 함께 수집되므로, 개인 재무 건전성 점검에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시:

  • 이번 달 외식비가 전월 대비 몇 % 증가했는지
  • 연말정산을 위한 지출 항목 분류
  • 불필요한 정기결제 내역 자동 탐지

투자 정보 통합 분석

마이데이터 API를 통해 가져오는 투자 정보는 주식, 펀드, ETF, 예금보험형 상품 등이 포함됩니다. 종목명, 수익률, 보유수량, 평가액 등의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어, 개인의 투자 자산 포트폴리오를 자동 정리할 수 있습니다.

주요 활용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체 투자 수익률 추적
  • 자산군별 분포 파악 (예: 주식 60%, 채권 30%, 기타 10%)
  • 특정 종목 또는 자산 유형의 리밸런싱 알림 설정

마이데이터 API의 잠재력

마이데이터 API는 단순한 금융 데이터 조회 도구를 넘어서, 개인 재무관리의 자동화, 분석 고도화, 맞춤형 금융 상품 추천까지 가능하게 만듭니다. 특히 예금·신용카드·투자 정보 자동 집계가 가능하다는 점은, 개인이 자산 현황을 보다 명확하게 파악하고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는 의미입니다.

마무리

마이데이터 API는 금융 데이터 혁신의 출발점입니다. 단순히 데이터를 가져오는 것에 그치지 않고, 어떻게 가공하고 사용자 맞춤형 인사이트로 전환하느냐가 경쟁력을 좌우합니다. 앞으로 다양한 오픈소스 분석 도구 및 프론트엔드 시각화 툴과 연계하여, 더 많은 서비스가 탄생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댓글 남기기